[정치+] 김오수 오늘 국회행…법사위 '검수완박' 논의<br /><br /><br />문 대통령이 검수완박 논란과 관련해 "개혁은 국민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"고 언급한 가운데, 국민의힘이 문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에 대한 압박 강도를 높이며 연일 여론전을 펼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시각 정치권 이슈, 임승호 전 국민의힘 대변인, 최지은 전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대변인과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법사위가 이틀째 '검수완박' 법안을 놓고 논의를 이어가고 있지만, 계속 평행선을 달리고 있습니다. 때문에 문 대통령의 생각은 과연 무엇인가에 주목하고 있는데요. "검찰 개혁은 필요하다. 입법은 국민을 위해야 한다"는 문 대통령의 어제 발언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어제 문 대통령을 만난 후 사표를 철회한 김오수 검찰총장이 검수완박 법안이 아니더라도 검찰 수사의 공정성과 중립성을 확보하는 특별법이 가능하지 않겠냐며, 국회에 새롭게 의견을 제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하지만, 현 상황에선 국회가 이를 받아들일지 미지수인데요. 이런 대안은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윤석열 당선인 측이 '자녀 특혜 편입' 논란에 휩싸인 정호영 후보자에 대해 "40년 지기라는 건 사실이 아니다"며 "법적인 책임을 넘어 도덕성도 지켜보고 있다"고 말했습니다. 어제까지 적극적으로 방어하던 것에서 살짝 온도가 달라진 모습인데요?<br /><br /> 하지만 정호영 후보자 측은 여전히 자진사퇴론을 일축하며 정면대응 기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 특히 불법, 부당행위가 없었다면서 필요시엔 자신도 직접 조사받겠다는 입장을 밝혔는데요. 본인이 이런 상황이라면, 자진사퇴를 하진 않을 걸로 보여지는데요?<br /><br /> 민주당은 정호영 후보자에 대해 지명 철회는 물론 검찰 수사도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 이대로 정 후보자의 논란이 계속된다면, 낙마를 하더라도 검찰 수사 등의 파장이 계속될 가능성도 있는데요?<br /><br />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의 아들 관련 의혹도 불거졌습니다. 이상민 후보자가 사외이사를 맡은 그룹의 다른 계열사에 그의 아들이 지난해 입사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. 이상민 후보자는 입사 후에 알았다고 밝혔지만, 이 부분도 청문회에선 쟁점이 될 것으로 보여지는데,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특히 후보자들의 사외이사 경력 논란은 이번 청문회에서 최대 쟁점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데요. 김인철 사회부총리 후보자는 사외이사를 맡는 과정에서 셀프 허가 논란까지 불거졌습니다. 또 사외이사로 1억 원의 급여까지 받은 것으로 나타났는데요. 일반적인 상황은 아닌 거죠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, 정의당의 이른바 '데스노트'가 또 한 번 주목받고 있습니다. 정의당이 한동훈 후보자와 정호영 후보자, 김인철 후보자와 김현숙 후보자까지 총 4명을 콕 집어 지명 철회할 것을 촉구했는데요. 이를 두고, 정의당의 데스노트가 부활한 것 아니냔 평가도 나오고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한편, 대선 과정에서 부실관리 논란을 빚었던 노정희 중앙선관위원장이 대선 40일 만에 사퇴했습니다. 사전투표 관리 책임에 통감한다고 밝혔습니다만, 뒷북 사퇴란 지적도 나오는데요. 뒤늦게 사퇴 의사를 밝힌 배경은 뭐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